Board

PERIGEE GALLERY의 새로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288
[CNB저널] [천수림의 현대사진산책+] 사진, 연결과 증언의 언어
2024-02-06
페리지 팀 프로젝트 2023 ‘신시얼리,(Sincerely,)’전·‘두산아트랩 전시 2024’

페리지갤러리가 진행한 페리지 팀 프로젝트 2023 ‘신시얼리,(Sincerely,)’전(1월 5일~2월 3일)은 고성과 홍예지가 1년여 동안 나눴던 일상과 성장에 대한 기록물이자, 관람객(독자)을 초대한 응접실이다. ‘두산아트랩 전시 2024’(1월 17일~2월 24일) 참여작가인 정여름은 역사적 장소에 대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영상으로 재구성해 장소와 기억의 연관 관계를 추적해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베트남전쟁을 추적한 ‘조용한 선박들’(2023)과 미군기지 롱캠프를 재발견한 ‘긴 복도’를 선보인다. 고성과 정여름은 사진과 영상, 텍스트를 통해 연결과 기억의 방법에 대해 긴 탐색을 해왔다.



페리지 팀 프로젝트 2023 ‘신시얼리,(Sincerely,)전 고성+홍예지

영화 ‘패터슨’(짐 자무쉬 감독)은 뉴저지 패터슨 시에서 버스 운전사로 일하는 패터슨의 7일 동안의 여정을 따라가는 영화다. 패터슨은 매일 출근해 일하고, 퇴근하고 돌아온 후에는 사랑스러운 아내와 저녁을 먹는다. 매일 저녁 반려견과 함께 산책하다 동네 바에 들러 맥주 한 잔으로 마무리하는 하루. 특별할 것 없는 일상을 살아가는 패터슨은 틈틈이 노트에 시를 쓴다.

패터슨 영화 프로젝트는 20여 년 전 짐 자무쉬 감독이 패터슨시로 당일치기 여행을 하면서 시작됐다. 주인공 패터슨처럼 감독도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시인을 존경했다. 폭포수가 보이는 자리에 앉아 시인(실제 윌리엄스는 패터슨 시에 살았다)에 대해 생각하다 패터슨에 살며 시를 쓰는 어떤 노동자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자고 생각했다.

시를 쓰는 패터슨처럼 자신을 사진을 찍는 패터슨과 같다고 느낀 고성은 페리지갤러리에서 매년 진행하는 ‘페리지 팀 프로젝트’에 선정되면서 미술평론가이자 전시기획자인 홍예지를 만났다. 페리지 팀 프로젝트는 매년 젊은 작가와 기획자를 한 명씩 선발해 하나의 새로운 팀을 만들고, 서로를 이해하는 진정한 협업을 통해 의미 있는 전시를 만들어 가는 프로그램이다.


고성, '민들레'. 20x30cm, 피그먼트 프린트. 2022. 사진=페리지갤러리

이 둘은 마치 짐 자무쉬 감독처럼 1년 동안 각자의 평범한 일상을 성실히 살면서 틈새로 스며든 영감과 깨달음, 삶과 예술 실천에 대한 이야기를 ‘서간’ 형식으로 기록하고 전시를 준비하기로 의기투합했다.

지난해 선정된 작가 고성과 기획자 홍예지는 서로 다른 세대와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해 왔지만 공통의 관심사를 지녔다. 이 둘은 인간에게 가장 본질적인 것, 눈에 보이지 않는 초월적인 가치와 인간이 땅에 뿌리내리게 만드는 요소에 대해 세심한 관심을 두고 있다. 초겨울에 시작된 대화는 봄, 여름, 가을을 거쳐 다시 겨울을 맞이하며 끊임없이 확장된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인간이 문화를 가꿔온 방식을 추적하거나 고전, 철학 논문과 시, 사진 등에서 표현된 삶의 내밀한 흔적을 살핀다.

“저희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는(아마도 다른 멀티버스에서) 관객도 창작자도 없고 모든 이들이 작업자이며 동시에 무엇이든 전시가 될 수 있는 상태일까 상상해봅니다. 생활 안에서, 들려주는 이야기에서, 자신의 바른 자세와 밝은 눈빛에서 이미 타인과 연결되고 드러나게 될테니까요.” - 페리지 팀포르젝트 2023 ‘신시얼리,(Sincerely,)’ 고성+홍예지 127쪽


페리지 팀 프로젝트 2023 '신시얼리,(Sincerely,)'전 디테일컷. 사진=페리지갤러리

전시장에서 이들은 서로 나눴던 탐구 과정과 긴밀한 교류를 시각적으로 풀어냈다. 전시장은 기획자의 서재와 작가의 작업실, 그리고 공동의 교류 공간으로 나뉘는데 너와 나, 우리를 의미한다. 전시기간 동안 전시장은 기획자와 작가, 관람객이 교류를 이어가는 공간으로 퍼포먼스가 진행되기도 했다. 고성은 패터슨처럼 노동과 사진작업을 병행하며 깨달은 사진작업의 태도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적었다.

“사진을 조금 진지하게 접근하는 사람들은 ‘본다’에 집중합니다. 그런데 그 이후도 중요합니다. 그러니까, 제 사진작업에서 촬영보다도 어쩌면 더 중요하다고 여기는 부분은 시퀀싱입니다. 이미지의 짝을 이루게 하고 그들이 앞과 뒤를 잇는 일입니다.”


페리지 팀 프로젝트 2023 ‘신시얼리,(Sincerely,)전 전경. 사진=페리지갤러리

‘신시얼리,(Sincerely,)’ 전시장 안에는 고성 작가가 좋아하는 영화 패터슨에 등장하는 버스 모형이 전시됐다. 작가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뉴욕의 사진 인화소에서 일했다. 그곳은 히로시 스기코토, 볼프강 틸만스, 마리아 아브라모비치, 윌리엄 이글스턴, 신디 셔먼, 낸 골딘 등 세계적인 작가들의 제작과정을 맡은 곳이었다. 디지털 프린트와 필름 스캐닝 작업은 그의 몫이었다. 작가는 홍예지에게 마치 자신이 패터슨 같았을 때 다듬었던 사진과 글을 함께 부쳤다.

“태양이 가장 남쪽 하늘을 가르는 날 반 해를 자라난 그림자는 숲에 닿는다.(중략)” - 2023 ‘신시얼리,(Sincerely,)’ 57쪽

검은 숲이나 커튼 등 풍경과 사물 등 그간 고성의 사진이 마치 시처럼 느껴진 이유를 이번 전시에서 찾을 수 있었다.



‘두산아트랩 전시 2024’전 참여작가 정여름


정여름, '긴 복도'.HD, 컬러, 스테레오, 36분. 2021. 사진=천수림

두산아트센터 두산갤러리는 ‘두산아트랩 전시 2024’전을 진행 중이다. ‘두산아트랩’은 두산아트센터가 시각예술과 공연 분야의 신진 작가 발굴과 지원을 위해 2010년부터 진행해 온 프로그램이다. 이번 두산아트랩 전시 2024에는 김영미, 박지은, 송예환, 임정수, 정여름이 선정됐다. 참여작가 중 정여름은 영상작품 ‘긴 복도’(2021)와 ‘조용한 선박들’(2023)을 선보인다.

사진은 어떻게 지나간 사건을 증언할 수 있을까. 하물며 점점 망각해가는 역사적 사실 앞에서라면. 비극적인 장소에 뒤늦게 도착한 정여름은 직접 찍은 사진과 자료사진, 푸티지 영상을 전략적으로 활용한다.


정여름, '긴 복도'.HD, 컬러, 스테레오, 36분. 2021. 사진=천수림

조용한 선박들은 직접 촬영한 사진을 포함한 사진 매체를 통해 한 장소의 과거와 현재를 비춰본다. 베트남의 ‘DMZ 다크투어’에 나선 화자를 따라, 베트남 전쟁의 주요한 장소들을 투어리스트의 사진과 투어 가이드이자 남베트남 패전용사인 ‘민’의 목소리를 통해 제시한다.

조용한 선박들은 베트남의 옛 수도인 후에(Hue)를 출발해 도시를 촬영한다. 후에의 도심 강에는 베트남 전쟁 때 추락한 폭격기 잔해가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 다양한 각도와 클로즈업으로 촬영된 폭격기 잔해는 마치 강을 거슬러 갈 선박처럼 보인다. 전쟁의 상징이기도 한 ‘강(Steel)’은 이렇듯 예기치 못한 장소에서 출현한다. 익숙한 듯 지나가는 시민들의 모습은 마치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포착된다. 기억과 망각 사이에 놓여 있는 역사는 ‘강’의 모습으로 드러나는 기호이자 장치로 쓰인다.


정여름, '조용한 선박들' (스틸컷). 채널 영상, 4k, 컬러+흑백, 스테레오, 26분. 2023. 사진=천수림

정여름은 베트남전쟁을 강과 지폐라는 기호를 통해 재소환한다. 1968년 영상 속 베트남 인민공화국의 국기 금성홍기와 ‘전쟁 관광’의 안내자 ‘민’의 목소리를 통해 베트남전에 대한 양쪽의 다른 견해를 추출할 수 있다. 베트남은 1986년 도이머이 프로그램 채택 후 미국을 포함한 과거의 적국과 교류한다. 여전히 끝나지 않은 전쟁은 ‘관광상품’으로 재소환된다. 정여름은 살아남아 관광가이드가 된 민의 태도를 통해 단단한 동시에 어느 방향으로든 휘어질 수 있는 강철을 떠올린다.

미군 기지 ‘캠프 롱’을 탐색한 긴 복도도 조사와 수집한 단서들(아카이브 사진), GPS, CCTV, 위성사진 등의 기술 매체를 사용해 영상으로 작업한 작품이다. 작가는 69년 동안 사용했던 미군기지인 롱 캠프가 원주시로 되돌아온 것을 축하하는 행사에 전시작가로 참여한다. 작가는 탐정과 동료(AI)와 함께 캠프 롱을 탐색한다. 구글맵에서 찾을 수 있는 단서는 ‘캠프 롱 ATM’뿐이다. 지도 위에 기표로 떠다니는 ATM에는 ‘장소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정여름, '조용한 선박들' (스틸컷). 채널 영상, 4k, 컬러+흑백, 스테레오, 26분. 2023. 사진=천수림

작가는 페도라가 찍은 네거티브 사진과 구글 어스의 위성사진, 이사도라의 기억을 캐낸 여러 진술을 통해 장소를 재구성해낸다. 페도라는 카메라를 사서 사진을 찍었고 흑백 사진으로 남겼다. 영어로 쓴 일기와 편지는 우리의 언어를 잃어버린 시대를 상기시킨다. 식민과 근대화를 거치는 동안 우리는 기억해야 할 장소를 잃어버렸다. 우리는 오늘과 어제를 어떻게 연결하고 기억할 수 있을까.


<작가소개>

고성은 사진적 언어로 연약하고 임시적인 삶, 실체와 기억에 대해 관찰하고 기록해왔다. 인식 구조의 이면과 가능성으로 존재하는 세계에 대해 줄곧 탐구하며 질문해가고 있다. 페리지 팀 프로젝트(2023)과 스코프(SKOPF) 올해의 작가3 인(2018), 마젠타 재단 플래쉬 포워드 (2015)등에 선정되었고, 필라델피아 미술관 여성위원회 상을 수상했다. 아르헨티나 국립미술관, 필라델피아 미술관 등에 작품이 영구 소장돼있고, 국내외 다양한 기관과 미술관 전시를 통해 작업을 나누고 있다.

홍예지(미술비평가, 큐레이터, 아름다움 출판사 대표)는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주요 기획 전시로 페리지 팀 프로젝트 2023 ‘신시얼리,(Sincerely,)’(2024), 김지수 개인전 ‘냄새풍경(Smellscape)’(2023),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 기획전 ‘칼립소’(2022), 김효진 개인전 ‘인간적인 것의 미로’(2023) 및 ‘에코의 초상’(2022), 기획전 ‘어게인스트(Against)’(2021)가 있다. 제4회 그래비티 이펙트(GRAVITY EFFECT) 미술비평공모 2위를 수상했으며 퍼블릭아트, 월간미술, 그래비티 이펙트 등에 평론을 기고하고 있다. 저서로 미술평론집 ‘사랑을 볼 수 있다면’(2023)이 있다

정여름은 계원예술대학 융합예술과를 졸업했다. 개인전 ‘머나먼 안개 속의 세기’(SeMA 벙커, 서울, 2023), ‘해피 타임 이즈 굿(HAPPY TIME IS GOOD)’(합정지구, 서울, 2021)을 개최했으며, 하이트컬렉션(2023, 서울), 만지 아트 스페이스(Manzi Art Space)(2022, 하노이), 홀(Hall) 1(2022, 서울), 공간 힘(2022, 부산), OCAT 상하이(2021, 서울) 등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김금영 기자
글: 천수림 사진비평
이미지 제공: 페리지갤러리, 두산갤러리

출처: CNB저널 (https://weekly.cnbnews.com/news/article.html?no=15...)